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히말라야 소개
    일반 뉴스 2014. 1. 29. 10:08




    히말라야 / The Himalaya

     

    File:IMG 2124 Everest.jpg

    해발 7000m 이상의 고산지대는 이성과 과학이 통하지 않고 극한 체험이 무시로 일어나는 신(神)의 영역이란 뜻에서 붙여진 말이다. 히말라야엔 ‘죽음의 지대’인 8000m급 봉우리가 14개 있다.히말라야(Himalaya)라는 말은 고대 인도언어인 산스크리트어로 눈(雪)을 뜻하는 히마(Hima)와 

    거처(居處)를 뜻하는 알라야(Alaya)의 합성어로 '눈의 거처', 즉 '만년설의 집'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히말라야의 범위는 인도대륙 

    북쪽에서 중앙아시아 고원 남쪽을 동서로 길게 잇는 만년설의 산맥인데 경우에 따라 그 범위를 다르게 잡기도 한다.

    즉 동쪽 부탄의 남차바르와(7,756m)에서 서쪽 파키스탄의 낭가파르밧(8,125m)까지 이어지는 이 산맥이 가장 정통한 의미의 

    히말라야산맥이며 그레이트히말라야라고도 부른다. 엄밀한 의미에서 히말라야산맥은 펀잡히말라야에서 끝이 난다.인더스강이 이 산줄기를 카라코룸산맥과 뚜렷이 나누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라코룸산맥은 지리적으로나 지질학적으로 

    히말라야산맥과 뚜렷한 차이가 없기 때문에 양자를 하나의 산줄기로 보아도 무방하다는 주장이 많다.

    그리고 보다 넓게 본다면 '히말라야'라는 어원이 의미하듯 히말라야는 만년설을 이고 있는 중앙아시아의 모든 고봉군을 일컫는다고도 할 수 있다. 중앙아시아 지역에서도 가장 많은 만년설 고봉이 밀집해 있는 산맥은 크게 여섯으로 나누는데 히말라야산맥은 물론, 카라코룸산맥, 힌두쿠시산맥, 곤륜산맥, 천산산맥, 파미르산맥 등이다. 광역 히말라야의 개념은 바로 이들 산맥을 하나의 등반대상지로 묶어 파악하자 는 의미이다.


    히말라야의 생성
     

    히말라야가 어떤 과정을 거쳐 형성됐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알프레드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에 따른 판구조론이 가장 정설로 되어 있다. 즉 히말라야는 지금으로부터 1억2천만년 전 남극쪽에 있던 인도판이 서서히 북쪽으로 

    이동하다가 5천만년 전부터는 북쪽의 유라시아판과 부딪치기 시작했다. 양쪽 대륙판이 부딪치며 오랫동안 솟아오른 것이 히말라야이며 지금도 지각활동이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 증거로 구조지질학자들은 히말라야 지층이 동서 방향인데 반해 인도대륙 지층은 남쪽 방향이라는 것과, 바다생물 화석과 

    퇴적층이 히말라야산맥에서 발견되는 점을 들어 지질시대에는 이 지역이 바다였다가 융기했음을 설명하고 있다. 히말라야를 횡단하는 하천의 분수령이 산맥의 주릉에서 시작되지 않고 북티베트고원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은 히말라야가 북쪽에서부터 솟아나기 시작해 점차 남쪽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히말라야의 지형

    그레이트히말라야 북쪽에 있는 티베트고원의 카일라스산 부근에서 인더스강 상류는 서쪽으로 흐르고, 브라마푸트라강 상류는 동쪽으로 흘러 산맥을 에워싸는 분포를 보인다. 협의의 히말라야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크게 세 줄기의 산맥이 평행을 이루며 동서로 달리고 있다. 제일 북쪽의 주산맥이 바로 7천∼8천미터급 산들로 이어진 그레이트히말라야이며 이 일대에는 빙하가 넓게 발달해 있다. 또한 기후가 몹시 한랭하고 산세가 험준하며 빙하계곡이 많다.

    그레이트히말라야 남쪽에는 소히말라야라고 불리는 마하바라크산맥과 필 판잘산맥이 고도 1천미터에서 4천미터의 높이로 이어져 있다. 이들 산맥 사이에 인도의 카시미르와 네팔의 포카라, 카투만두와 같은 분지가 있고 산의 허리 부분에 주민들이 사는 게 보통이다. 히말라야 산맥은 크게 중국과 네팔, 그리고 인도와 파키스탄의 경계를 이루며 아시아의 거대한 산군으로 형성되어있다.    

    <네팔 남부의 구릉지>

    그리고 가장 남쪽의 아우터히말라야는 시왈리크라고 부르는 구릉이 동서로 달리고 있는데 이 구릉 남쪽 기슭이 평야지대로 

    이어진다. 네팔에서 츄리아라고 부르는 이 구릉지대는 해발 1천미터 이하의 높이로 이루어져 있다. 시왈리크구릉과 아우터히말라야의 사이에는 히말라야를 가로질러 흘러내린 대하천의 퇴적물이 채워지고 자연림과 야생동물이 서식한다.

    <티벳고원- 티벳의 성산 카일라시>

    그리고 시왈리크구릉 남쪽 기슭에는 다라이, 혹은 '문'을 뜻하는 두아르라고 불리는 띠 모양의 평지가 펼쳐진다. 이곳은 덥고 습하며 아열대 산림으로 뒤덮여 있어 사람이 살기 어려웠으나 점차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레이트히말라야 북쪽에는 

    고도 5천미터 전후의 산들과 사막과 비슷한 상태의 티베트고원이 있다.


    히말라야의 기후
    그레이트히말라야에서도 중간의 네팔과 시킴, 부탄과 같은 지역에서는 몬순이라고 부르는 계절풍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건기와 우기가 뚜렷이 구별된다. 여름에는 벵갈만에서 불어오는 습한 바람이 비를 몰고 와 이 지역 농사에 도움이 되나 높은 산에는 눈이 내려 등반이 불가능해진다. 그래서 네팔히말라야에서는 몬순기 전을 프레몬순(Pre monsoon), 몬순 후를 포스트몬순(Post Monsoon)으로 구분하여 등반허가를 내주고 있다.

    겨울철은 건기로 눈은 많이 내리지 않으나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바람이 거세게 분다. 그리고 서쪽의 카라코룸이나 펀잡히말라야에는 겨울철의 편서풍이 불어와 높은 산에 많은 눈이 내린다. 일년 중 1, 2월은 건조하고 기온이 낮으나 3월부터는 기온이 올라가기 시작해서 4, 5월의 프레몬순기에는 가장 더운 날씨가 된다. 그리고 6월 중순부터는 우기가 시작되어 주로 동부히말라야에 많은 비가 내리고 9월 하순부터는 포스트몬순기가 된다.

    11월에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고 12월부터는 기온이 낮아진다. 몬순에 의해 이동한 강한 구름과 응축된 수증기는 히말라야 산맥에 부딪혀 저지대에는 많은 비를 고산에는 눈을 내리게 한다. 중앙아시아와 인도대륙 사이에서 대류권을 반으로 가르며 

    솟아 있는 히말라야는 그 길이 만큼이나 폭도 넓고 남북간의 높낮이가 심해 건조습윤의 변화가 크다. 가장 낮은 지대의 아열대에서부터 고산의 빙설지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기후대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3,900미터에서 5,500미터 부근의 설선까지는 고산대로서 키작은 노송나무 등이 자란다. 이곳은 여름에는 꽃과 풀이 많이 자라는데 티베트에서는 방목지가 된다. 티베트는 주로 여기에 속하는 고원지대로 차고 건조한 반사막지가 많고 오아시스 

    이외에는 녹지가 적은 특유의 풍토를 이룬다. 5,500미터 이상은 고산지대로 주로 빙하와 만년설로 덮여 있다. 빙하 말단부는 

    동부히말라야가 강수량이 많은 관계로 3천미터까지 낮아지는데 에베레스트 롱부크빙하의 경우 5,154미터, 쿰부지역의 고줌바빙하는 4,690미터 등으로 꽤 높다. 카라코룸에서는 서쪽에서 유입되는 수증기로 인해 많은 눈이 내려 대빙하가 발달해 있다. 파키스탄의 발토로빙하의 경우 빙하 말단부가 3,530미터까지 내려와 있다.

     

    히말라야의 문화

     

    히말라야산맥은 그 자체가 자연적인 요새가 되어 각 지역간의 교류를 막아왔으며 그에 따라 각 지역마다 특이한 문화가 발달해 왔다. 히말라야의 여러 민족 가운데 일부는 오랜 옛날부터 그곳에서 살아왔으며 일부는 주변지역에서 이주해 왔다.

    히말라야 주변에는 오래 전부터 여러 문명권이 있었다. 대표적인 것으로 남쪽의 힌두, 서쪽의 이슬람, 그리고 북쪽에는 티베트문명이 있었다. 이들 문명의 영향은 히말라야 각지역에 영향을 주고 또한 상호교류되면서 나름대로 특이한 소문화가 

    발달해 왔다.

    히말라야 저지대는 주로 인도문명이 영향을 주었고, 서부지역은 이슬람문명이, 그리고 고지대로 갈수록 북쪽의 티베트문명이 영향을 끼쳤다. 이에 비해 동쪽 지역은 비교적 다른 문명의 영향을 받지 않은 채 원시적이고 소박한 문화 형태를 유지해왔다.

    히말라야의 언어 분포를 보면, 중국과 티베트, 동남아시아에 널려 있는 중국 티베트어족과 인도에서 유럽대륙을 거쳐 분포하는 

    인도 게르만어족이 만나는 경계지역에 해당한다.

    전자에 속하는티베트, 버마의 언어와 후자에 속하는 인도 아리아어가 그것이다. 티베트어와 그 방언은 시킴에서 히마찰 프라데시까지, 또는 아루나찰 프라데시에서 아삼에 이르기까지 아삼, 그리고 서쪽의 카시미르 지역까지 거의 모든 히말라야 

    고산지대에 고르게 분포한다. 인도 아리아의 여러 언어는 히말라야 산록 남쪽 평지에 폭넓게 분포한다. 아삼어, 벵갈어, 

    비하르어, 힌두어, 펀잡어, 우르두어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카시미르에서 힌두쿠시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같은 어파인 카시미르어, 시나어 등이 분포한다. 

    히말라야 산맥의 8000m 이상의 최고봉 14좌  

    히말라야의 봉우리를 높이로 분류한 최초의 기록은 영국에서 출간된 <히말라야와 티베트의 지리지질 개요> 

    ( 1907년 초판. 1933년 개정판 간)인데 이 책에는 히말라야의 고봉이 피트 단위로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24,000피트(7,317m) 이상의 봉우리가 93개이고 26,000피트(7,924.8m) 이상이 18좌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미터법을 공용으로 사용하고부터는 이러한 구분이 없어지고 7천, 8천미터급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이것은 1950년 프랑스대가 안나푸르나1봉(8,091m)을 초등정하고 나서 '인류 최초의 8천미터 봉우리 등정'이라고 강조하면서 

    더욱 굳어지게 되었다. 

    히말라야산맥에 8천미터가 넘는 봉우리가 14개만 있는 것은 아니다. 8천미터 이상의 높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14좌 

    리스트에 끼지 못하고 위성봉 취급을 받고 있는 봉우리들이 있는데, 

    로체샤르(8,400m)와 캉첸중가 남봉(8,476m)이나 얄룽캉(캉첸중가 서봉. 8,505m) 등이 그것이다.로체샤르(Lhotse Shar)의 '로체'는 티베트어로 '남쪽'을 의미하는데 '샤르'는 다시 동쪽을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결국은 

    에베레스트를 중심으로 '남동쪽에 있는 봉우리'란 뜻을 가지고 있다. 이 호칭은 전래되어 내려온 것이 아니라 1921년 영국의 에베레스트원정대가 자의적으로 로체봉과 함께 붙인 이름이다. 로체샤르는 그 호칭에서부터 그러하듯이 하나의 독립봉으로서의 확실한 면모를 갖추지 못하고 있어서 지구상의 8천미터급 14좌 대열에 끼지 못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로체(8,516m)봉이 에베레스트의 위성봉이면서도 세계 14좌 대열에 있는 것처럼 로체샤르도 그 대열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히말라야의 어떤 봉우리를 하나의 독립봉으로 판단하는 데는 특별히 객관적 기준이 없다.

    그저 보는 사람들의 주관에 의해 결정되었을 뿐이다. 두 개의 고봉이 나란히 있는 경우 두 봉간의 거리나 콜(col)의 깊이 

    등으로 낮은 쪽을 독립봉인지 돌출봉인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그 거리나 깊이에 대해 약속된 기준이 없다는 것이다.

    에베레스트의 남봉(8,763m)은 주봉에서 아주 가깝고 이렇다할 분기점(col)이 없어 독립봉으로 인정하기 어렵지만, 캉첸중가 서봉 같은 경우는 주봉과의 거리도 있어 그 자체가 독립봉의 자격을 충분히 갖췄다고 보는 사람들도 많다. 이 봉이 발견될 당시에 지금과 같은 얄룽캉이란 이름만 가지고 있었더라면 아마도 당연히 8천미터급 독립봉으로 취급되었을 것이다.

      히말라야 8000m 이상 높이의 봉우리를 우리는 14좌 라고 브른다.                           

     

     

    산 이 름
    높 이(단위:m-ft)
    소 속 지 역
    1. 에베레스트(Everest )
    8,848-29,028
    네팔/중국
    2. 케이투(K2)
    8,611-28,250
    파키스탄/중국
    3. 캉첸중가(Kangchenjunga)
    8,586-28,169
    네팔/인도
    4. 로체(Lhotse)
    8,511-27,940
    네팔/중국
    5. 마칼루(Makalu)
    8,463-27,766
    네팔/중국
    6. 초오유(Cho Oyu)
    8,201-26,906
    네팔/중국
    7. 다울라기리(Dhaulagiri)
    8,167-26,795
    네팔
    8. 마나슬루(Manaslu)
    8,163-26,781
    네팔
    9. 낭가파르밧(Nanga Parbat)
    8,125-26,660
    파키스탄
    10. 안나푸르나(Annapurna)
    8,091-26,545
    네팔
    11. 가셔브룸1봉(GasherbrumⅠ)
    8,068-26,470
    파키스탄/중국
    12. 브로드피크(Broad Peak)
    8,047-26,400
    파키스탄/중국
    13. 가셔브룸2봉(Gasherbrum Ⅱ)
    8,035-26,360
    파키스탄/중국
    14. 시샤팡마(shisha Pangma)
    8,012-26,285
    중국    

     

    14좌에 등록되지 못한 2봉 

    15. 얄룽캉(Yalung Kang)
    8,505-27896
    네팔
    16. 로체샤르(Lhotse Shar)
    8,400-27552
    네팔/중국

     

     

    히말라야 14좌 소개

     

    1. 에베레스트 (초모룽마) Everes 8,850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初登) 순위 : 2 (1953년)
    첫 등반가 : 힐러리, 텐징 (영국 원정대)
    1852년 영국 측량 부대에 의해 발견된 에베레스트산의 이름은 측지학자 에베레스트 경의 이름에서 따왔다. 본디 이름은 티벳트어로 초모룽마, '세계의 여신'이라는 뜻이다.
    영국 원정대는 1921년부터 1953년 사이 10번 도전 끝에 성공하였다.

     

     2. K2 8,611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4 (1954년)
    첫 등반가 : 콤파뇨니, 라체델리 (이탈리아 원정대)
    히말라야에서 2번째로 높은 봉우리.
    영국 측량대에서 측량된 산으로 2번째로 측량되, K2라는 명칭이 붙여졌으며 지금도 이 명칭을 사용한다.
    1892년 첫 원정대가 등정하였으며(도중 실패),
    피라미드처럼 깍아지른 모습의 경사 때문에 이탈리아, 미국의 여러 원정대가 고전하였다. 

     

    3. 칸첸중가 Kanchenjunga 8,598m

    위치 : 시킴 히말라야(인도)
    초등 순위 : 7 (1955년)
    첫 등반가 : 조지 밴드, 조 브라운 (영국 원정대)
    가장 먼저 알려진 히말라야 8000m급 봉우리로 K1이라는 명칭도 가지고 있다.

     

    4. 로체 Lhotse 8,516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9 (1956년)
    첫 등반가 : 라이스, 루흐징거 (스위스 원정대)
    바로 옆에 있는 에베레스트산에 실체가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1921년 첫 원정대에 의해 로체라 이름이 붙여졌다.
    로체는 '남쪽 봉우리'라는 뜻. 

     

    5. 마칼루 Makalu 8,463 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6 (1955년)
    첫 등반가 : 프랑코 (프랑스 원정대)
    1921년 처음 알려졌다. 뉴질랜드, 미국, 프랑스 세 나라가 경쟁을 하였으나, 우수한 장비와 계획적인 등반으로 프랑스가 손쉽게 정복하였다.

     

     

    6. 초오유 Cho Oyu 8,201 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8 (1954년)
    첫 등반가 : 티히, 파상, 요할라 (오스트리아 원정대)
    마칼루와 마찬가지로 1921년에 비로소 발견되었다. 티벳말로 '터키 구슬'이라는 뜻이다.
    1954년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단 4일 만에 정복되었다.

     

    7. 다울라기리 Dhaulagiri 8,167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3 (1960년)
    첫 등반가 :  딤베르거 등 5명 (스위스-오스트리아 원정대)
    다울라기리는 인도어로 '흰 산'이란 뜻이다. 여러 나라가 8번 도전 끝에 정복하였다.
    사방이 낭떠러지로 험준한 얼음 요새는 뒤늦게 스위스,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8. 마나슬루 manaslu 8,163 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8 (1956년)
    첫 등반가 : 이마니시 등 3명 (일본 원정대)
    마나슬루는 인도어로 '영혼'이라는 뜻이다.
    일본은 1953년부터 1956년까지 3차례의 원정대를 보냈다.
    중간에 마을 주민들의 방해가 있었지만, 1956년에 3차 원정대에 의해 정복되어, 당시 패전국의 설움을 안고 살았던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9.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8,126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3 (1953년)
    첫 등반가 : 헤르만 볼 (독일 원정대)
    1895년 히말라야 8천m급 봉우리 중에서 가장 먼저 등반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첫 도전부터 1953년 정복까지 무려 31명의 희생자를 냈다. 독일은 6차례의 원정 끝에 정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

     

     

     

     

    10.안나푸르나 Annapurna 8,091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 (1950년)
    첫 등반가 : 에르조그, 라슈날 (프랑스 원정대)
    프랑스 원정대는 조직적인 계획과 신식 등반 장비 덕분에 단 한 번의 도전으로 정상에 올랐다.

     

    11. 가셔브룸 1 (히든 피크) Gasherbrum 1 (Hidden Peak) 8,068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2 (1958년)
    첫 등반가 : 세닝, 클린치 (미국 원정대)
    이 산의 또 다른 이름은 히든 피크이다. 다른 봉우리에 가려 숨겨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몇 번의 시도 끝에 1958년 미국 원정대는 정상에 올라 강대국의 체면을 살릴 수 있었다.

     

    12. 브로드 피크 Broad Peak 8,047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1 (1957년)
    첫 등반가 : 딤베르거, 불 (오스트리아 원정대)
    브로드 피크란 이름은 이 산의 정상이 평평하여서 붙여진 이름이다.
    4명의 오스트리아인 대원이 전부인 원정대는 역대 가장 적은 비용으로 정복에 성공하였다

     

    13. 가셔브룸 2 Gasherbrum 2 8,035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0 (1956년)
    첫 등반가 : 라르히 등 3명 (오스트리아 원정대)

     

     

    14. 시샤팡마 (고사인탄) Shisha Pangma (Gosainthan) 8,013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4 (1964년)
    첫 등반가 : 쉐칭 등 10명 (중국 원정대)
    티베트어로는 시샤팡마(풀밭이 있는 산), 힌두어로 고사인탄(성자의 집)이다.
    히말라야 8천m 고봉 중에서 가장 깊숙이 있으며, 중국령 티베트에 속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 원정대의 접근이 어려웠다.이런 점을 이용한 중국은 최초 등정에 성공하였다.

     

     



     

Designed by Tistory.